1. RIP 설정
Router(config)# router rip
Router(config-router)# network 주소
-----
형식 : 클래스풀 네트워크
어떤 주소 : 인터페이스 (라우터)
>> 10.0.0.0/8, 8.0.0.0/8, 9.0.0.0/8
2. RIP의 메트릭
-------
경로 결정 기준
-> hop-count : 목적지 네트워크에 도달하기위해 라우터를 경유한 횟수
-> 최대 hop-count : 15 hop, 16hop 이상은 도달 불가능한 경로
3. 디스턴스 벡터 계열
---------------
라우팅 알고리즘
4. 업데이트 타임(시간) : 30초
5. show ip protocols
>> RIP 설정 내용 확인 할 수 있음
: 어떤 인터페이스가 RIP에 참여하고 있는 지
: 자동 요약기능이 활성화/비활성화 되어 있는 지
: RIP의 Version을 확인할 수 있음.
: 라우팅 루핑을 방지하기 위한 타이머 확인 가능
Router# debug ip rip
>> 업데이트 패킷의 송수신 내용을 확인.
6. RIP은 네트워크를 광고하면서 해당 네트워크의 메트릭을 1만큼 증가시킨다.
업데이트 패킷을 수신한 라우터는 해당 패킷의 메트릭을 참고하여
라우팅 테이블에 메트릭을 기록함.
--> 수신 라우터는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한 메트릭을 계산 안한다.
>> 루머에 의한 라우팅
7. VLAN (Virtual LAN)
1) A VLAN = A Broadcast Domain = A Logical Subnet
2) VLAN 설정
Step 1. VLAN 생성 -> VLAN ID 만들기
Switch(config)# vlan 아이디(숫자)
Switch(config-vlan)#
-----------------------
VLAN 설정 모드
Step 2. 멤버 할당
Switch(config)# interface 인터페이스명
Switch(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아이디(숫자)
3) 트렁크 설정
- L2 스위치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trunk
- L3 스위치
Switch(config-if)#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trunk
4) VLAN 설정 확인
Switch# show vlan
5) 트렁크 포트 확인
Switch# show interface trunk
6) L3 스위치 라우팅 활성화
Switch(config)# ip routing
7) VLAN 인터페이스 활성화 조건
- 해당 VLAN ID가 생성이 되어 있어야 함
- 해당 VLAN에 속하는 멤버가 있어야 함
만약, 멤버가 없다면 트렁크 포트가 정의되어 있으면 됨.
>> VLAN 인터페이스
--> interface vlan 10
VLAN ID
--> vlan 10
8) Inter-VLAN 라우팅 설정시 필요한 명령어들
- VLAN ID 생성
- VLAN 인터페이스 생성
>> 게이트웨이 주소 설정을 위해 생성함
------------------
--> VLAN에 속한 호스트가 사용할 게이트웨이 주소
- 라우팅 활성화
- 트렁크 설정
-------------
스위치간 링크는 트렁크링크로 구성
------------
>> 주어진 토폴로지에서 다수의 VLAN이 존재하고 여러 L2 스위치가 있을 때
모든 L2 스위치에 각 VLAN에 대한 ID를 생성해야 한다.
'시스코 > 시스코-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VLAN 설정 - 라우터(Router On A Stick, ROAS), 스위치(SVI) (0) | 2021.12.15 |
---|---|
스위치(Switch) - VLAN 설명, 명령어 (0) | 2021.12.15 |
라우팅 테이블 해석, 호스트 갯수에 따른 서브네팅, 동적 라우팅 - RIP ROUTING (0) | 2021.12.08 |
서브넷마스크, ARP 사용 목적, CISCO 간단 명령어, DHCP, 기본 라우팅 설정 (0) | 2021.12.08 |
10.25 이론, arp 캐시, ping테스트 명령어 (0) | 2021.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