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3 스위치에서 Inter-VLAN 라우팅 설정
--------------------
서로 다른 VLAN에 속한 호스트간 통신 설정
>> 각 VLAN에 속한 호스트가 사용할 GW 주소를 정의
--> VLAN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IP 주소가 GW 주소로 사용이 됨
Ex) Switch(config)# interface vlan 100
--------------------
>> vlan 100 인터페이스를 생성
>> vlan 100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설정
>> 라우팅 기능을 활성화 해야 함
--> Switch(config)# ip routing
>> 트렁크 설정
--> 스위치간 연결된 포트
--> Switch(config-if)#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trunk
2. Router에서 Inter-VLAN 라우팅 설정하기
( = Router On A Stick, ROAS )
Router(config)#interface fa0/0
Router(config-if)#no shutdown
Router(config-if)#interface fa0/0.VLANID
Router(config-subif)#encapsulation 트렁킹 프로토콜 VLAN_ID
Router(config-subif)# ip address 주소 서브넷마스크
'시스코 > 시스코-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SRP 명령어, 사용하는 이유 (0) | 2022.01.06 |
---|---|
STP (Spanning Tree Protocol) (0) | 2022.01.06 |
스위치(Switch) - VLAN 설명, 명령어 (0) | 2021.12.15 |
RIP 설정, 스위치 간 VLAN 설정, Inter-VLAN 설정 필기 (0) | 2021.12.14 |
라우팅 테이블 해석, 호스트 갯수에 따른 서브네팅, 동적 라우팅 - RIP ROUTING (0) | 2021.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