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폴로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3개의 지역이 존재

- 대구

- 울산

- 부산

 2. 3개의 지역을 연결 해 주는 중앙 라우터(ISP) 존재

 

실습 목표

ISP를 통해 각 지역간의 네트워크를 연결 할 계획

 

실습 내용

각 라우터의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입력해 주었다.

 

 *울산 라우터 설정

Ulsan_RO(config)#int fa0/0

Ulsan_RO(config-if)#ip add 191.1.1.1 255.255.255.0

Ulsan_RO(config-if)#no sh

 

Ulsan_RO(config-if)#int se0/3/0

Ulsan_RO(config-if)#ip add 191.2.1.1 255.255.255.0

Ulsan_RO(config-if)#no sh

 

 *대구 라우터 설정

Daegu_RO(config)#int fa0/0

Daegu_RO(config-if)#ip add 191.1.2.1 255.255.255.0

Daegu_RO(config-if)#no sh

 

Daegu_RO(config-if)#int se0/3/0

Daegu_RO(config-if)#ip add 191.2.2.2 255.255.255.0

Daegu_RO(config-if)#no sh

 

 *부산 라우터 설정

Busan_RO(config)#int fa0/0

Busan_RO(config-if)#ip add 191.1.3.1 255.255.255.0

Busan_RO(config-if)#no sh

 

Busan_RO(config-if)#int se0/3/0

Busan_RO(config-if)#ip add 191.2.3.2 255.255.255.0

Busan_RO(config-if)#no sh

 

 * ISP 라우터 설정

ISP(config)#int se0/3/0

ISP(config-if)#ip add 191.2.1.2 255.255.255.0

ISP(config-if)#no sh

 

ISP(config-if)#int se0/3/1

ISP(config-if)#ip add 191.2.2.1 255.255.255.0

ISP(config-if)#no sh

 

ISP(config-if)#int se0/2/0

ISP(config-if)#ip add 191.2.3.1 255.255.255.0

ISP(config-if)#no sh

 

각 라우터에 IP설정을 마치고 정적 라우팅을 해 주었다.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 울산 라우터 설정

Ulsan_RO(config)#ip route 191.1.2.0 255.255.255.0 191.2.1.2

울산->대구

Ulsan_RO(config)#ip route 191.1.3.0 255.255.255.0 191.2.1.2

울산->부산

Ulsan_RO(config)#ip route 191.2.2.0 255.255.255.0 191.2.1.2

울산->ISP->대구

Ulsan_RO(config)#ip route 191.2.3.0 255.255.255.0 191.2.1.2

울산->ISP->부산

 

 * 대구 라우터 설정

Daegu_RO(config)#ip route 191.1.1.0 255.255.255.0 191.2.2.1

대구->울산

Daegu_RO(config)#ip route 191.1.3.0 255.255.255.0 191.2.2.1

대구->부산

Daegu_RO(config)#ip route 191.2.1.0 255.255.255.0 191.2.2.1

대구->ISP->울산

Daegu_RO(config)#ip route 191.2.3.0 255.255.255.0 191.2.2.1

대구->ISP->부산

 

 * 부산 라우터 설정

Busan_RO(config)ip route 191.1.1.0 255.255.255.0 191.2.3.1

부산->울산

Busan_RO(config)ip route 191.1.2.0 255.255.255.0 191.2.3.1

부산->대구

Busan_RO(config)ip route 191.2.1.0 255.255.255.0 191.2.3.1

부산->ISP->울산

Busan_RO(config)ip route 191.2.2.0 255.255.255.0 191.2.3.1

부산->ISP->대구

 

핑 테스트 결과 세 지역간의 정적 라우팅을 통한 연결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토폴로지를 DHCP와 ip route를 이용하여 대구-부산-울산 통신이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 Daegu_RO 설정

 

Router>ena

Router#

Router#conf

Configuring from terminal, memory, or network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host Daegu_RO 

>> 호스트명 변경

 

Daegu_RO(config)#int fa0/1

Daegu_RO(config-if)#ip add 192.168.1.1 255.255.255.0

Daegu_RO(config-if)#no sh

>> fa0/1 경로에 ip를 넣고 no shutdown

 

Daegu_RO(config-if)#

%LINK-5-CHANGED: Interface FastEthernet0/1, changed state to up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FastEthernet0/1, changed state to up

 

Daegu_RO(config-if)#int fa0/0

Daegu_RO(config-if)#ip add 192.168.3.1 255.255.255.0

Daegu_RO(config-if)#

Daegu_RO(config-if)#no sh

 

Daegu_RO(config-if)#

%LINK-5-CHANGED: Interface FastEthernet0/0, changed state to up

 

Daegu_RO(config-if)#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FastEthernet0/0, changed state to up

 

Daegu_RO(config-if)#ex

Daegu_RO(config)#ip dhcp pool Daegu

Daegu_RO(dhcp-config)#network 192.168.1.0 255.255.255.0

Daegu_RO(dhcp-config)#default-router 192.168.1.1

Daegu_RO(dhcp-config)#dns-server 192.168.1.1

 

>> Daegu 의 이름으로 dhcp를 설정 해주었다.

     네트워크 IP는 192.168.1.0/24

     게이트웨이 주소는 192.168.1.1

     DNS 서버 주소는 192.168.1.1 (이번에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설정은 해주었다.)

 

Daegu_RO(dhcp-config)#%DHCPD-4-PING_CONFLICT: DHCP address conflict: server pinged 192.168.1.1.

>> 대구의 두개의 피시중 하나는 IP를 Static으로 설정해주었고,

     하나는 DHCP로 설정을 하자 위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되며 IP주소를 받았다.

 

 

 - Busan_RO 설정

 

Router(config)#host Busan_RO

Busan_RO(config)#

Busan_RO(config)#INT FA0/0

Busan_RO(config-if)#ip add 192.168.3.2 255.255.255.0

Busan_RO(config-if)#no sh

%LINK-5-CHANGED: Interface FastEthernet0/0, changed state to up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FastEthernet0/0, changed state to up

 

Busan_RO(config-if)#int fa0/1

Busan_RO(config-if)#ip add 192.168.2.1 255.255.255.0

Busan_RO(config-if)#no sh

%LINK-5-CHANGED: Interface FastEthernet0/1, changed state to up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FastEthernet0/1, changed state to up

 

Busan_RO(config-if)#int se0/3

Busan_RO(config)#int se0/3/0

Busan_RO(config-if)#ip add 192.168.4.1 255.255.255.0

Busan_RO(config-if)#no sh

 

%LINK-5-CHANGED: Interface Serial0/3/0, changed state to down

 

%LINK-5-CHANGED: Interface Serial0/3/0, changed state to up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Serial0/3/0, changed state to up

 

Busan_RO(config)#ip dhcp pool Busan

Busan_RO(dhcp-config)#network 192.168.2.0 255.255.255.0

Busan_RO(dhcp-config)#default-router 192.168.2.1

Busan_RO(dhcp-config)#dns-server 192.168.2.1

 

Busan_RO(dhcp-config)#%DHCPD-4-PING_CONFLICT: DHCP address conflict: server pinged 192.168.2.1.

 

 - Ulsan_RO 설정

 

Router(config)#host Ulsan_RO

Ulsan_RO(config)#int se0/3/0

Ulsan_RO(config-if)#ip add 192.168.4.2 255.255.255.0

Ulsan_RO(config-if)#no sh

%LINK-5-CHANGED: Interface Serial0/3/0, changed state to up

 

Ulsan_RO(config-if)#int fa0/0

Ulsan_RO(config-if)#ip add 192.168.5.1 255.255.255.0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Serial0/3/0, changed state to up

Ulsan_RO(config-if)#no sh

%LINK-5-CHANGED: Interface FastEthernet0/0, changed state to up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FastEthernet0/0, changed state to up

 

설정을 마치고 핑 테스트를 해보았다.

대구 내부 / 부산 내부 / 울산 내부

각 지역의 내부 끼리는 이상 없이 통신이 가능했으나,

 

대구 <-> 부산

부산 <-> 울산

대구 <-> 울산

지역간의 통신은 되지 않았다.

위 처럼 다른 네트워크로의 패킷 전달이 어려운 경우, 우리는 '라우팅'을 이용하여 경로를 설정해 줄 수 있다.

 

라우팅이란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올바른, 혹은 최적의 경로로 찾아가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길을 찾아주는 것이다.

 

라우팅은 정적(Static) 라우팅과 동적(Dynamic) 라우팅으로 구분되며,

이번 실습에서는 정적 라우팅을 활용하여 지역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볼 것이다.

정적 라우팅을 위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Router(config)#ip route 대상네트워크주소 서브넷주소 대상을향한인접한IP

 

이를 활용하여 대구->부산, 대구->울산의 경로를 알려주었다.

대구->부산

Daegu_RO(config)#ip route 192.168.2.0 255.255.255.0 192.168.3.2

대구->울산

Daegu_RO(config)#ip route 192.168.5.0 255.255.255.0 192.168.3.2

 

설정을 마쳤지만 통신은 되지 않는다. 

대구에서는 울산까지의 경로를 알고 패킷을 전송할 수 있지만,

울산에서는 대구의 경로를 알지 못해 패킷을 다시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부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설정을 통해 부산->대구, 울산->대구 의 경로를 알려주었다.

울산->대구

Ulsan_RO(config)#ip route 192.168.1.0 255.255.255.0 192.168.4.1

부산->대구

Busan_RO(config)#ip route 192.168.1.0 255.255.255.0 192.168.3.1

 

설정을 마치고 대구<->부산, 대구<->울산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머지 부산<->울산의 경로도 알려주었다.

울산->부산

Ulsan_RO(config)#ip route 192.168.2.0 255.255.255.0 192.168.4.1

부산->울산

Busan_RO(config)#ip route 192.168.5.0 255.255.255.0 192.168.4.2

 

Router# show ip route 명령어를 이용해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다.

 - 대구 라우팅 테이블

192.168.1.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1.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L 192.168.1.1/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S 192.168.2.0/24 [1/0] via 192.168.3.2

192.168.3.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3.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L 192.168.3.1/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S 192.168.5.0/24 [1/0] via 192.168.3.2

 

 - 부산 라우팅 테이블

S 192.168.1.0/24 [1/0] via 192.168.3.1

192.168.2.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2.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L 192.168.2.1/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192.168.3.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3.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L 192.168.3.2/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192.168.4.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4.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L 192.168.4.1/32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S 192.168.5.0/24 [1/0] via 192.168.4.2

 

 - 울산 라우팅 테이블

S 192.168.1.0/24 [1/0] via 192.168.4.1

S 192.168.2.0/24 [1/0] via 192.168.4.1

192.168.4.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4.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L 192.168.4.2/32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192.168.5.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5.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L 192.168.5.1/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세 지역의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면, Static으로 경로가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p route를 이용한 정적 라우팅에 대해 알아보았다.

정적 라우팅의 경우에는 최적의 경로는 아니지만, 내가 원하는 경로를 만들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설정 할 때마다 관리자의 개입이 필요하며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질수록 관리 및 유지보수가 어렵다.

 

아래와 같은 토폴로지를 통신이 되게 할 계획이다.

 

 

 

 

 설정

라우터

 Router(config)# int Fa0/0 

 Router(config-if)# ip add 172.16.0.1 255.255.0.0

 Router(config-if)# no sh

 

 Router(config)# int Fa0/1

 Router(config-if)# ip add 172.17.0.1 255.255.0.0

 Router(config-if)# no sh

 

-> 라우터로부터 대구 스위치와 부산 스위치에 연결된 라인에 ip주소를 입력함

 

스위치

 D_SW(config)# ip default-gateway 172.16.0.1

 D_SW(config)# int vlan 1

 D_SW(config-if)# ip add 172.16.0.2 255.255.0.0

 D_SW(config-if)# no sh

 

 B_SW(config)# ip default-gateway 172.17.0.1

 B_SW(config)# int vlan 1

 B_SW(config-if)# ip add 172.17.0.2 255.255.0.0

 B_SW(config-if)# no sh

 

-> 대구 스위치와 부산 스위치에 게이트웨이 주소와 vlan1에 ip주소를 입력함

 

 * L2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IP주소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vlan 1을 이용하여 ip주소를 가지게 한다.

이를 이용하여 pc에서 스위치로의 핑테스트 또한 가능하다.

 

 * ip default-gateway를 설정하면 다른 서브넷으로의 접속도 가능하다.

PC

 

양쪽 PC에 각각의 IP, SubM, G/W 를 입력함

 

핑 테스트 결과 양쪽 PC에서 모든 스위치, 라우터와 핑테스트가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ping 172.16.0.2

 

Pinging 172.16.0.2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172.16.0.2: bytes=32 time<1ms TTL=254

Reply from 172.16.0.2: bytes=32 time=1ms TTL=254

Reply from 172.16.0.2: bytes=32 time<1ms TTL=254

Reply from 172.16.0.2: bytes=32 time<1ms TTL=254

 

Ping statistics for 172.16.0.2:

Packets: Sent = 4, Received = 4, Lost = 0 (0% loss),

Approximate round trip times in milli-seconds:

Minimum = 0ms, Maximum = 1ms, Average = 0ms

 

C:\>ping 172.16.0.1

 

Pinging 172.16.0.1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172.16.0.1: bytes=32 time<1ms TTL=255

Reply from 172.16.0.1: bytes=32 time<1ms TTL=255

Reply from 172.16.0.1: bytes=32 time<1ms TTL=255

Reply from 172.16.0.1: bytes=32 time=1ms TTL=255

 

Ping statistics for 172.16.0.1:

Packets: Sent = 4, Received = 4, Lost = 0 (0% loss),

Approximate round trip times in milli-seconds:

Minimum = 0ms, Maximum = 1ms, Average = 0ms

 

C:\>ping 172.16.0.100

 

Pinging 172.16.0.100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172.16.0.100: bytes=32 time<1ms TTL=127

Reply from 172.16.0.100: bytes=32 time<1ms TTL=127

Reply from 172.16.0.100: bytes=32 time<1ms TTL=127

Reply from 172.16.0.100: bytes=32 time<1ms TTL=127

 

Ping statistics for 172.16.0.100:

Packets: Sent = 4, Received = 4, Lost = 0 (0% loss),

Approximate round trip times in milli-seconds:

Minimum = 0ms, Maximum = 0ms, Average = 0ms

 

 

 

----

C:\>ping 172.17.0.2

 

Pinging 172.17.0.2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172.17.0.2: bytes=32 time<1ms TTL=254

Reply from 172.17.0.2: bytes=32 time<1ms TTL=254

Reply from 172.17.0.2: bytes=32 time<1ms TTL=254

Reply from 172.17.0.2: bytes=32 time<1ms TTL=254

 

Ping statistics for 172.17.0.2:

Packets: Sent = 4, Received = 4, Lost = 0 (0% loss),

Approximate round trip times in milli-seconds:

Minimum = 0ms, Maximum = 0ms, Average = 0ms

 

C:\>ping 172.17.0.1

 

Pinging 172.17.0.1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172.17.0.1: bytes=32 time<1ms TTL=255

Reply from 172.17.0.1: bytes=32 time<1ms TTL=255

Reply from 172.17.0.1: bytes=32 time<1ms TTL=255

Reply from 172.17.0.1: bytes=32 time<1ms TTL=255

 

Ping statistics for 172.17.0.1:

Packets: Sent = 4, Received = 4, Lost = 0 (0% loss),

Approximate round trip times in milli-seconds:

Minimum = 0ms, Maximum = 0ms, Average = 0ms

 

C:\>

C:\>

C:\>ping 172.17.0.100

 

Pinging 172.17.0.100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172.17.0.100: bytes=32 time<1ms TTL=127

Reply from 172.17.0.100: bytes=32 time=1ms TTL=127

 

Ping statistics for 172.17.0.100:

Packets: Sent = 2, Received = 2, Lost = 0 (0% loss),

Approximate round trip times in milli-seconds:

Minimum = 0ms, Maximum = 1ms, Average = 0ms

 

 

스위치의 mac-address-table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초기에 스위치에 맥주소테이블을 확인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위와같이 출력된다.

테이블에 아무런 정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사진과 같이 PC에 IP주소를 입력해주고, PC끼리 Ping 테스트를 한다.

아무런 문제 없이 핑이 나갈 것이다.

핑테스트를 마친 후, Switch# show mac-address-table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위의 사진과 같이 출력이 된다.

Fa0/2 경로로 연결된 PC의 맥 주소는 00E0.B0D1.CE30 라고 출력되었다.

출력된 내용이 사실인지 확인을 하기 위해 해당 PC의 CMD로 이동한다.

ipconfig /all 을 입력하면 해당 PC의 모든 정보를 알 수 있다.

출력된 내용을 통해 PC로 통신을 하게 되면 mac-address-table에 맥 주소가 기록 됨을 알 수 있다.

라우터와 연결된 스위치에 ip주소를 넣어준다.

 

Router(config)# int fa0/0

Router(config-if)# ip address 172.16.0.1 255.255.255.0

Router(config-if)# no shutdown

 

Router(config)# int fa0/1

Router(config-if)# ip address 172.16.1.1 255.255.255.0

Router(config-if)# no shutdown

 

DHCP 설정을 해준다.

 

ip dhcp pool LEFT
 network 172.16.0.0 255.255.255.0
 default-router 172.16.0.1
 dns-server 172.16.0.1

ip dhcp pool RIGHT
 network 172.16.1.0 255.255.255.0
 default-router 172.16.1.1
 dns-server 172.16.1.1

 

위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DHCP의 IP주소, Subnetmask, Gateway 주소,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해 줄 수 있다.

 

 

 

PC 설정으로 들어가 DHCP를 선택하면, 위에서 설정한 DHCP에 맞춰 자동으로 IP주소, Subnetmask, Gateway 주소, DNS 서버 주소가 입력된다.

 

 

4개의 PC에 자동으로 기입된 정보를 토대로 핑을 쏘자, 서로 통신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비 기본 설정

 - 장비 설정 모드가 존재

  1) 사용자 모드 -> Router>

                      Router> enable

                        > 사용자모드에서 특권 모드로 이동하기 위한 명령어

 

 2) 특권 모드 -> Router#

                      Router# disable

                        > 사용자 모드로 이동하기 위한 명령어

                      Router# configure terminal

                        > 전역설정모드로 이동하기 위한 명령어

 

 3) 전역 설정 모드 -> Router(config)#

                      Router(config)# exit

                        > 특권 모드로 이동하기 위한 명령어

 

  1. 장비 이름 설정

Router(config)# hostname 장비이름

 -> '장비이름'에 입력한 정보로 장비 이름이 변경된다.

Router(config)# no hostname

 -> 장비 이름을 초기화시켜 원래의 기본 장비 이름으로 되돌아 간다.

 

 

장비 이름을 Daegu로 바꾼 후, 초기화 시켜보았다.

 

  2. 패스워드(암호) 설정

    -> 장비 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기능

 1) enable 패스워드 설정

  -> 사용자모드에서 특권모드로 이동시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만들어 주는 기능

Ex) 전역 설정 모드에서 enable secret '암호' 를 입력, 

 

전역 설정 모드에서 암호를 cisco로 지정해 주고, 설정한 암호를 입력하라는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 모드로 돌아간 후 특권모드로 이동하기 위한 명령어를 입력하였다.

 

결과로 시스템은 나에게 암호를 요구했고 지정한 암호인 cisco를 입력하자 특권 모드로 이동할 수 있었다.

 

  2) telnet 패스워드 설정

   -> PC(host)에서 cmd창을 통해서 라우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

Router(config)# line vty 0 4

 -> 라우터에 연결(세션)할 수 있는 갯수,(0, 1, 2, 3, 4) 최대 5개까지 가능하다.

 

Router(config-line)# password '암호'

Router(config-line)# login

 

 3) IP 주소 설정 -> NIC 랜카드 : 포트, 인터페이스

 Router(config)# interface 인터페이스명

  >> 인터페이스 명에는 IP주소를 설정하려는 인터페이스 이름을 지정한다.

 Ex) Router(config)# interface fa0/0

 

 Router(config-if)# ip address IP주소 서브넷마스크

  >> IP주소에는 설정하려는 IP주소를 지정하고,

       서브넷 마스크에는 IP주소에 해당하는 클래스의 서브넷 마스크를 지정한다.

            -> 10.14(목)필기 A~F Class 참고.

 Ex) Router(config-if)# ip address 1.1.1.1 255.0.0.0

 

 Router(config-if)# no shutdown

  >> no shutdown 명령어는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UP) 하는 명령어이다.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Down) 상태이므로 반드시 입력해야 하는 명령어이다.

  Ex) Router(config-if)# no shutdown

 

위의 사진을 통해 라우터와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라우터에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 주었다.

인터페이스 fa0/0 을 지정하고, 라우터의 ip주소를 1.1.1.2,

                                        그에 해당하는 클래스의 서브넷마스크 255.0.0.0를 지정해주었다.

no shutdown을 입력해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시키자

위의 사진처럼 라우터와 스위치가 연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PC0의 IP를 1.1.1.100으로 지정하고 라우터에 핑테스트를 해보았다.

 

문제없이 잘 연결되어 있다.

 

그렇다면 원래의 목적인 cmd창을 통해 PC에서 라우터에 접속하는 것을 실습해 볼 것이다.

 

앞에서 배운 telnet 패스워드 설정 과정에서, line vty 명령어를 통해 라우터에 접속할 수 있는 PC의 갯수를 지정하고,

암호로 cisco를 설정해 주었다.

PC0의 cmd창에서 라우터의 ip를 입력하자 패스워드를 요구했다.

 

지정한 패스워드인 cisco를 입력하자 무사히 cmd창을 통해 라우터에 진입하는데 성공했다.

 

--------------------------------------------------------------------------------------------------

 

*장비 설정 확인

 1. 장비 전체 설정 확인

  Router# show running-config

 

2. 장비의 IP주소 및 인터페이스 상태에 대해 간략하게 확인하기

  Router# show ip interface brie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