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와 연결된 스위치에 ip주소를 넣어준다.
Router(config)# int fa0/0
Router(config-if)# ip address 172.16.0.1 255.255.255.0
Router(config-if)# no shutdown
Router(config)# int fa0/1
Router(config-if)# ip address 172.16.1.1 255.255.255.0
Router(config-if)# no shutdown
DHCP 설정을 해준다.
ip dhcp pool LEFT
network 172.16.0.0 255.255.255.0
default-router 172.16.0.1
dns-server 172.16.0.1
ip dhcp pool RIGHT
network 172.16.1.0 255.255.255.0
default-router 172.16.1.1
dns-server 172.16.1.1
위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DHCP의 IP주소, Subnetmask, Gateway 주소,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해 줄 수 있다.
PC 설정으로 들어가 DHCP를 선택하면, 위에서 설정한 DHCP에 맞춰 자동으로 IP주소, Subnetmask, Gateway 주소, DNS 서버 주소가 입력된다.
4개의 PC에 자동으로 기입된 정보를 토대로 핑을 쏘자, 서로 통신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스코 > 시스코-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ip route) 실습 (0) | 2021.11.29 |
---|---|
라우터에 DHCP를 설정하고, Static pc와 DHCP pc간의 통신 (0) | 2021.11.29 |
스위치, 라우터 기본 설정(스위치 GW, VLAN 1 설정) (0) | 2021.11.25 |
Switch 의 MAC-address-table (0) | 2021.11.24 |
Cisco packet tracer 기본 설정 (0) | 2021.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