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QoS ( 서비스 품질 )
-> 대역폭 조정
(속도)
-> 패킷의 우선 순위 지정 >> 어떤 패킷을 먼저 처리 할 것인가를 지정할 수 있음
-> 실시간 데이터
>> Voice 데이터 : VoIP ( Voice Over IP ) , 인터넷 전화 < 속도에 민감함
2. Bus = Shared (공유) >> 전달 매체를 공유
3. 메시 토폴로지
4. 호스트 통신 모델 > 호스트간 통신 모델
---------
PC와 PC간
1) OSI 7 Layer ( OSI 참조 모델)
2) TCP/IP
3) Protocol - 통신 규약, 시스템이 서로 대화하는 방법을 정의한 규칙
4) 7,6,5 계층 -> 상위 계층
5) 4,3,2,1 계층 -> 하위 계층
6) Transport Layer
상위 계층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나누는 역할 <-- 송신 호스트
수신한 세그먼트를 조립하는 역할 <-- 수신 호스트
7) Network Layer
네트워크 연결 >> 장비 : 라우터 ( L3 장비 )
--> 데이터 전달
8) Data Link Layer
인접한 장비간에 통신 방법을 제공 >> 장비 : 스위치 ( L2 장비 )
---------------
직접 연결된 장비
9) Physical Layer
케이블 명세 (정의)
-> UTP 케이블 : 속도 - 100Mbps
최대 전송 거리 - 100m
물리적 커넥터 - RJ-45 Jack
10) 전송에 필요한 정보 = Header
Enapsulation : 헤더를 추가하는 과정 , 송신 호스트
헤더 추가 방향 >> L7 -> L2
De-Enapsulation : 헤더를 확인한 후 제거하는 과정, 수신 호스트
헤더 확인 및 제거 방향 >> L2 -> L7
11) peer - to - peer
Segments (세그먼트) : L4 PDU
-> L4 | L5 | L6 | L7 | Data
--- -------------------
HDR Payload
Packets (패킷) : L3 PDU
-> L3 | L4 | L5 | L6 | L7 | Data
--- -----------------------
HDR Payload
Frames (프레임) : L2 PDU
-> L2 | L3 | L4 | L5 | L6 | L7 | Data
--- ----------------------------
HDR Payload
Bits (비트)
논리적 주소 -> Logical Address -> IP 주소
물리적 주소 -> Physical Address
->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12) TCP/IP suite
L4 애플리케이션 <---> 애플리케이션, Presentation, 세션
L3 트랜스포트 <---> 트랜스 포트
L2 인터넷 <---> 네트워크
L1 네트워크 엑세스 <---> 데이터 링크, 물리
5. TCP/IP 인터넷 계층
1) 패킷의 라우팅을 담당
------
-> 데이터 전달, 라우터가 데이터를 전달 하는 것.
2) 네트워크 장비 식별자 => IP 주소 사용
3) 이 주소를 이용해 데이터 패킷 라우팅이 이뤄진다.
-------
-> IP 주소
4) IPv4, IPv6 ( IPv4 주소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나옴 >> 장기 해결책 )
-> 수동 할당 / 자동 할당 ( DHCP )
5) IP 네트워크 어드레싱 (중요)
- 그림 1-26 (P73) ; IP 헤더
출발지 IP 주소, 목적지 IP 주소 : 32 비트
TTL ( Time To Live, 8비트) : 최대값 255 >> 라우팅 루핑(Looping)을 방지 하기 위해 사용
-> 라우터를 경유할 때 마다 1씩 감소 됨. TTL값이 0인 패킷은 폐기(Drop)함.
우선권&서비스유형(Type of Service, Tos, 8비트)
--------------------
-> QoS를 위한 설정 값이 들어감.
- IP 주소 길이 : 32 비트
- 8비트 = 1 Octet
6) IP 주소 클래스
- A, B, C
- 통신방식
유니캐스트 통신 : 일 대 일 통신
>> 유니캐스트 주소
멀티캐스트 통신 : 일 대 다(그룹) 통신
>> 멀티캐스트 주소 224.x.x.x
브로드캐스트 통신 : 일 대 다 통신
>> 브로드캐스트 주소 N.255.255.255
N.N.255.255
N.N.N.255
Source IP : 1.1.1.1
Destination IP : 2.255.255.255
-> 2.0.0.0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호스트와 통신 할 때,
목적지 주소로 2.255.255.255의 형태를 가진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사용함.
유니캐스트 주소 >> 통신을 위해 설정된 IP 주소 즉, 장비에 설정된 IP 주소
멀티캐스트 주소 >> 224.x.x.x
---> 목적지 주소로만 사용 가능
- A Class : 유니캐스트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네트워크 주소
- B Class : 유니캐스트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네트워크 주소
- C Class : 유니캐스트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네트워크 주소
- A Class의 첫 번째 옥텟의 주소 범위 : 0 ~ 127 -> 1 ~ 126
0 : 0.0.0.0 <-- 미확정 주소
127 : 127.0.0.1 <-- 루프백 주소
TCP/IP 프로토콜이 설치 된 시스템에서 TCP/IP 프로토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
-> 루프백 테스트 주소(자가진단) 라고도 함.
- B Class의 첫 번째 옥텟의 주소 범위 : 128 ~ 191
- C Class의 첫 번째 옥텟의 주소 범위 : 192 ~ 223
- D Class의 첫 번째 옥텟의 주소 범위 : 224 ~ 239
- E Class의 첫 번째 옥텟의 주소 범위 : 240 ~ 255
7) 255.255.255.255 -> 브로드캐스트 주소, 로컬 브로드캐스트 주소
>> 송신 호스트와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호스트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브로드캐스트 주소.
-->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 목적지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주소인 패킷들을 통칭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 유니캐스트 트래픽
--> 멀티캐스트 트래픽
8) 라우터는 네트워크ID를 이용해서 패킷을 적절한 네트워크 세그먼트로 보낸다.
-----------
= 네트워크 주소 ( Ex. 1.0.0.0)
9) 서브넷 마스크
A Class : 255.0.0.0 -> 1111 1111 . 0000 0000 . 0000 0000 . 0000 0000 >> /8
B Class : 255.255.0.0 -> 1111 1111 . 1111 1111 . 0000 0000 . 0000 0000 >> /16
C Class : 255.255.255.0 -> 1111 1111 . 1111 1111 . 1111 1111 . 0000 0000 >> /24
192.168.1.0 255.255.255.0 -> 192.168.1.0/24
----
Prefix : 24번째 까지 네트워크 주소이다.
10) 라우팅 테이블 확인 : #show ip route
C 192.168.1.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 ----------------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 출구 인터페이스
192.168.1.0/24 -> 192.168.1.0 ~ 192.168.1.255
-> 라우터가 수신한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192.168.1.0/24에 속한 호스트 주소이면
수신 패킷을 출구 인터페이스인 FastEthernet0/1 인터페이스로 전달 함.
route(config)#ip route 192.168.2.0 255.255.255.0 192.168.3.2
route(config)#ip route 192.168.2.0 255.255.255.0 fa0/0
route(config)#ip route 192.168.2.0 255.255.255.0 192.168.3.1
--------
2110151 실습 참고자료
ip dhcp pool A
network 172.16.0.0 255.255.255.0
default-router 172.16.0.1
dns-server 172.16.0.1
ip dhcp pool B
network 172.16.1.0 255.255.255.0
default-router 172.16.1.1
dns-server 172.16.1.1
* Router(config)# no ip domain-lookup
>> 라우터에 입력한 명령어가 잘못된 것 일때 라우터는 명령어를 도메인 주소로 인식하여
DNS 서버로 검색을 하게 된다. 이 기능을 비활성화 하는 명령어로 no ip domain-lookup 명령어를 사용한다.
11) 자동 설정 IP주소 >> 링크 로컬 IP 주소
169.254.x.x /16
--> DHCP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로 부터
IP 정보를 할당 받지 못했을 때 자동으로 설정되는 주소
--> 사설 IP 주소
12) 공개 IP 주소 = 공인 IP 주소
13) 사설 주소 ->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IP
내부 통신만 가능
-> 사설 IP 주소가 설정된 시스템에서 외부와 통신할 때
NAT 기술을 사용하여 가능함.
----------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는 기술, 주소 변환 기술(Network Address Translation)
14) DHCP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로 부터 TCP/IP 스택 설정 매개변수를 획득하는 과정
Client ----------------> Server
DHCP Discover
<----------------
DHCP Offer
----------------->
DHCP Request
<----------------
DHCP AcK(애크)
15) DHCP나 DNS 설정 값을 다시 가져오는 방법 (상식으로 알아둘 것.)
>> ipconfig /release -> ipconfig /renew
-> 현재 설정된 정보 삭제 -> DHCP 서버로부터 TCP/IP 매개변수 정보를 다시 가져 옴.
>> ipconfig /all
-> 모든 어댑터에 대한 TCP/IP 전체 설정을 화면에 표시함.
------
Adapter = NIC
>> ipconfig /flushdns
-> dns 캐시 정보를 삭제하는 명령어
-----
>> ipconfig /displaydns
-> dns 캐시 확인하는 명령어
* 서브넷팅
>> 네트워크를 나누는 기술
>> 하나의 네트워크를 각 각의 독립적인 네트워크로 나누는 기술
---------------------------
서브네트워크 = 서브넷(Subnet)
Ex) 192.168.1.0/24 -> 192.168.1.0 ~ 192.168.1.255
>> 192.168.1.0 ~ 192.168.1.127 --> A 회사 (대구)
>> 192.168.1.128 ~ 192.168.1.255 --> B 회사 (부산)
192.168.1.0 000 0000 ~ 192.168.1.0 111 1111 /25 <- /24+1
192.168.1.1 000 0000 ~ 192.168.1.1 111 1111 /25 <- /24+1
/24 = 255.255.255.0
/25 = 255.255.255.128(1000 0000)
/26 = 255.255.255.192(1100 0000)
'시스코 > 시스코-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적 라우팅(ip route), 서브넷팅 이론 및 명령어 (0) | 2021.11.29 |
---|---|
Transparent Bridging, 스위치 기본 설정 명령어 (0) | 2021.11.25 |
TCP, UDP, (0) | 2021.11.24 |
IP 주소 구성, IPv4 구성 (0) | 2021.10.20 |
네트워크 구성 필수요소, OST 7 계층 (0) | 2021.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