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 목표
VLAN 을 생성하고 멤버 할당을 한다.
L3 스위치를 라우터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L3 스위치는 L2의 역할도, L3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설정을 통해 변경이 가능하다.
두 PC가 서로 통신이 가능케 한다.
L3 스위치 설정
Switch(config)#vlan 10
Switch(config-vlan)#vlan 20
-> VLAN 10, 20 선언(생성)
Switch(config-vlan)#int ra fa0/1-2
> interface range, 여러 회선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Switch(config-if-range)#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itch(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
> trunk 설정은 물리적으로 다른 스위치간에 vlan을 공유할 때 사용한다.
> L3 스위치에서 VLAN 10과 VLAN 20을 생성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해 trunk 설정을 해 준다.
Switch(config-if-range)#int vlan 10
Switch(config-if)#ip add 10.0.10.1 255.255.255.0
Switch(config-if)#no sh
Switch(config-if)#int vlan 20
Switch(config-if)#ip add 10.0.20.1 255.255.255.0
Switch(config-if)#no sh
> L3 스위치에서 생성한 VLAN에 IP주소를 입력한다.
Switch(config-if)#ip routing
> L3 스위치를 라우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왼쪽 SW 설정
Switch(config)#int fa0/1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 트렁크 모드로 변경
Switch(config)#vlan 10
Switch(config-vlan)#vlan 20
> VLAN 10, 20 생성
Switch(config-vlan)#int fa0/24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
> fa0/24 포트를 vlan 10 전용으로 설정
오른쪽 SW 설정
Switch(config)#int fa0/2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witch(config-if)#vlan 10
Switch(config-vlan)#vlan 20
Switch(config-vlan)#int fa0/24
Switch(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20
설정을 마치고 핑테스트를 해보았다.
아무 이상 없이 핑테스트가 작동한다.
'시스코 > 시스코-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VLAN - 스위치(SVI) 설정 (0) | 2021.12.15 |
---|---|
실습 토폴로지 : VLAN, Trunk, 서브넷팅(Subnetting),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ip route (0) | 2021.12.14 |
동적 라우팅(RIP)을 활용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0) | 2021.12.14 |
서브넷팅(Subnetting) - 지역 간 네트워크 필요 호스트 갯수에 따른 서브넷팅, DHCP 활용 (0) | 2021.12.14 |
라우팅 실습 - 라우터 3개 지역간 라우팅 네트워크주소, 브로드캐스트주소 구분 (0) | 2021.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