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 목표
해당 토폴로지를 동적 라우팅(RIP)을 활용하여 통신이 가능케 한다.
단, 이전 시간에 배운 정적 라우팅을 사용해선 안된다. (ip route)
주어진 IP주소와 RIP 명령어를 활용해 통신이 가능케 하라.
라우터 기본 설정
대구 라우터
Daegu_RO(config)#int fa0/0
Daegu_RO(config-if)#ip add 192.168.3.1 255.255.255.0
Daegu_RO(config-if)#no sh
Daegu_RO(config-if)#int fa0/1
Daegu_RO(config-if)#ip add 192.168.1.1 255.255.255.0
Daegu_RO(config-if)#no sh
부산 라우터
Busan_RO(config)#int fa0/0
Busan_RO(config-if)#ip add 192.168.3.2 255.255.255.0
Busan_RO(config-if)#no sh
Busan_RO(config-if)#int fa0/1
Busan_RO(config-if)#ip add 192.168.2.1 255.255.255.0
Busan_RO(config-if)#no sh
Busan_RO(config-if)#int se0/3/0
Busan_RO(config-if)#ip add 192.168.4.1 255.255.255.0
Busan_RO(config-if)#no sh
울산 라우터
Ulsan_RO(config)#int se0/3/0
Ulsan_RO(config-if)#ip add 192.168.4.2 255.255.255.0
Ulsan_RO(config-if)#no sh
Ulsan_RO(config-if)#int fa0/0
Ulsan_RO(config-if)#ip add 192.168.5.1 255.255.255.0
Ulsan_RO(config-if)#no sh
라우팅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지역간 통신은 불가능 하다.
이번 실습에서는 동적 라우팅 RIP 을 활용해 통신을 가능케 해볼 계획이다.
RIP은 Metric의 hop count를 통해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다.
매 순간 최적의 경로를 선정하기 위해 30초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한다.
정적 라우팅 RIP 에서는 이웃 IP의 경로를 설정함으로 라우터간 네이버를 공유하고, 경로로 활용한다.
대구 라우터 설정
Daegu_RO(config)#router rip
Daegu_RO(config-router)#network 192.168.1.0
Daegu_RO(config-router)#network 192.168.3.0
부산 라우터 설정
Busan_RO(config)#router rip
Busan_RO(config-router)#network 192.168.2.0
Busan_RO(config-router)#network 192.168.3.0
Busan_RO(config-router)#network 192.168.4.0
울산 라우터 설정
Ulsan_RO(config)#router rip
Ulsan_RO(config-router)#network 192.168.4.0
Ulsan_RO(config-router)#network 192.168.5.0
RIP으로 라우팅 설정을 해 주고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해 보았다.
대구 라우팅 테이블
192.168.1.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1.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L 192.168.1.1/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R 192.168.2.0/24 [120/1] via 192.168.3.2, 00:00:13, FastEthernet0/0
192.168.3.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3.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L 192.168.3.1/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R 192.168.4.0/24 [120/1] via 192.168.3.2, 00:00:13, FastEthernet0/0
R 192.168.5.0/24 [120/2] via 192.168.3.2, 00:00:13, FastEthernet0/0
부산 라우팅 테이블
R 192.168.1.0/24 [120/1] via 192.168.3.1, 00:00:22, FastEthernet0/0
192.168.2.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2.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L 192.168.2.1/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1
192.168.3.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3.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L 192.168.3.2/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192.168.4.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4.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L 192.168.4.1/32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R 192.168.5.0/24 [120/1] via 192.168.4.2, 00:00:04, Serial0/3/0
울산 라우팅 테이블
R 192.168.1.0/24 [120/2] via 192.168.4.1, 00:00:10, Serial0/3/0
R 192.168.2.0/24 [120/1] via 192.168.4.1, 00:00:10, Serial0/3/0
R 192.168.3.0/24 [120/1] via 192.168.4.1, 00:00:10, Serial0/3/0
192.168.4.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4.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L 192.168.4.2/32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3/0
192.168.5.0/24 is variably subnetted, 2 subnets, 2 masks
C 192.168.5.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L 192.168.5.1/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대표적으로 대구 라우팅 테이블을 분석해보았다.
R 192.168.2.0/24 [120/1] via 192.168.3.2, 00:00:13, FastEthernet0/0
R 192.168.4.0/24 [120/1] via 192.168.3.2, 00:00:13, FastEthernet0/0
R 192.168.5.0/24 [120/2] via 192.168.3.2, 00:00:13, FastEthernet0/0
R - RIP을 활용해 라우팅 되었음
192.168.x.0/24 [120/y] - 192.168.x.0 주소 범위로 y개의 홉카운트를 뜻함
192.168.3.2 - 해당 네트워크 경로와 연결 되어 있음
00:00:13 - 연결 된 시간을 뜻함, 30초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며 다시 00:00:00으로 초기화 됨
FastEthernet0/0 - fa0/0 경로로 연결 되어 있음
토폴로지의 규모가 커질수록 정적 라우팅에 비해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번 설정을 마치면 자동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수시로 네트워크 환경이 변경되는 복잡한 상황에 사용하기 좋다.
만약 정적 라우팅을 활용했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해야 했을 것이다.
대구 라우팅 설정
Daegu_RO(config)#ip route 192.168.2.0 255.255.255.0 192.168.3.2
Daegu_RO(config)#ip route 192.168.4.0 255.255.255.0 192.168.3.2
Daegu_RO(config)#ip route 192.168.5.0 255.255.255.0 192.168.3.2
부산 라우팅 설정
Busan_RO(config)#ip route 192.168.1.0 255.255.255.0 192.168.3.1
Busan_RO(config)#ip route 192.168.5.0 255.255.255.0 192.168.4.2
울산 라우팅 설정
Ulsan_RO(config)#ip route 192.168.1.0 255.255.255.0 192.168.4.1
Ulsan_RO(config)#ip route 192.168.2.0 255.255.255.0 192.168.4.1
Ulsan_RO(config)#ip route 192.168.3.0 255.255.255.0 192.168.4.1
RIP 설정에 비해 복잡한 명령어를 많이 입력해야 하고
만약 네트워크 환경이 바뀌게 되면 다시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시스코 > 시스코-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습 토폴로지 : VLAN, Trunk, 서브넷팅(Subnetting),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ip route (0) | 2021.12.14 |
---|---|
L3 스위치를 활용한 VLAN 생성과 멤버 할당 (0) | 2021.12.14 |
서브넷팅(Subnetting) - 지역 간 네트워크 필요 호스트 갯수에 따른 서브넷팅, DHCP 활용 (0) | 2021.12.14 |
라우팅 실습 - 라우터 3개 지역간 라우팅 네트워크주소, 브로드캐스트주소 구분 (0) | 2021.12.02 |
ARP 캐시 확인, 핑 테스트 명령어 확인 실습 (0) | 2021.12.02 |